사회적 약자에 대한 기회제공과 사회통합, 지역사회 활성화와 공동체 복원, 그 밖에 공동체의 이익실현과 공공성 강화
사회적가치 실현 노력
한국안전기술협회 사회적협동조합은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지원기관(경기도교육감 제2019-01호)으로서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를 주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어린이놀이시설 안전점검 및 유지보수, 관리주체 안전관리자 안전교육, 어린이 놀이시설 충격흡수용 바닥재 소독방역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본 기관의 주력 사업인 놀이시설 안전점검 및 유지보수 사업과 안전교육의 주요 수요처는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시행령」 제2조2항에 대통령령이 정한 시설로 설치장소별 개소 현황으로 보면 주택단지, 도시공원, 어린이집, 학교, 유치원 등이며 관계법령에 따라 설치된 놀이시설로 73,489개소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기관은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제15조에 의거 지자체 예산 확보를 통해 공공기관 용역계약을 나라장터 혹은 수의계약을 통해 수주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도시공원은 해당 지자체 공원관리과 사업 예산 중에 모래소독 및 위탁점검 사업제안을 통해 용역 수주를 진행하고 있으며 사회적협동조합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를 활용하여 동종업계 시장진입장벽을 높게 선점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5조5항에 따르면 취약계층 고용비율을 충족하는 기업인 경우에 추정가격 2천만원 이하에서 추정가격 5천만원 이하인 계약으로 1인견적 수의계약 대상금액이 확대 되었습니다. 사회적 경제기업 수의계약 금액 확대에 따라 본 기관은 취약계층 고용비율(40%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안전기술사 전문가 양성 사업을 통해 더 확대할 예정입니다.
근로자 보건/안전 및 고용의 질
한국안전기술협회 사회적협동조합의 주요 사업인 안전점검 및 유지보수, 안전교육, 소독방역은 사회적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별 안전관리자 양성교육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효과에 크게 이바지하려 합니다. 또한 본 기관은 전문기관 실기, 이론 병행 교육을 통한 현장 실무 능력 강화를 통해 재난관리의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것이며 안전의식 제고를 위한 홍보 및 전문가 양성 교육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활동을 전개하려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본 기관은 실업 청년, 중·장년층, 퇴임 공무원 등 취업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여 안전지도사, 안전기술사, 안전감시원 전문가 자격 취득 교육을 실시 하여금 재난, 시설 안전 관리 부문 전문가 양성과정을 통해 청년 구직난과 전문 인력난 해소를 하려 이바지 하고 있습니다.